728x90
반응형
🚀 n8n 실습 1단계 – Webhook + Set + Slack 노드로 기본 워크플로우 만들기
n8n을 설치했다면, 이제 본격적으로 워크플로우를 만들어봅시다!
이번 1단계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받아서 가공한 후, Slack으로 전송하는 자동화를 구현합니다.
📌 목표
- Webhook으로 폼 데이터 수신
- Set 노드로 원하는 필드만 추출
- Slack으로 메시지 전송
🔧 구성 노드
- Webhook – 외부에서 데이터 받기
- Set – 필요한 데이터 필드 추리기
- Slack – 메시지 전송
📂 예제 데이터
Webhook에 다음과 같은 JSON 데이터를 POST한다고 가정합니다:
{
"name": "홍길동",
"email": "hong@test.com",
"message": "신규 문의가 도착했습니다."
}
1️⃣ Webhook 노드 생성
- 노드 추가 →
Webhook
선택 HTTP Method
: POSTPath
:/new-lead
등으로 설정- Webhook URL 복사 후 테스트 도구 (Postman 등)로 요청
예: http://localhost:5678/webhook-test/new-lead
2️⃣ Set 노드 추가
- Webhook 뒤에
Set
노드 추가 Add Value
→ Field Name:name
, Expression:{{$json["name"]}}
- 동일 방식으로
email
,message
도 추가
3️⃣ Slack 노드 구성
Slack
노드 추가Resource
: MessageOperation
: Post messageChannel
: 원하는 채널 이름Text
: 예시Hello, {{$json["name"]}}님! 📨 이메일: {{$json["email"]}} 메시지 내용: {{$json["message"]}}
※ Slack Credentials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(3단계에서 자세히 설명)
✅ 워크플로우 실행
- Workflow 우측 상단 →
Activate
- Webhook URL로 POST 요청 보내기
- Slack에서 알림 메시지 수신 확인!
📝 마무리
이번 1단계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입력 → 가공 → 출력 흐름을 구현해 보았습니다.
Slack 외에도 Gmail, Notion, Telegram 등 다양한 노드로 확장할 수 있어요.
👉 다음 단계에서는 조건문(IF), 반복(Loop), 지연(Schedule) 등의 로직 제어 노드를 배워봅니다.
728x90
반응형
'자동화 툴 > n8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8n 자동화 가이드 - 3편: n8n UI 구조와 워크플로우 설계의 기초 (3) | 2025.06.04 |
---|---|
n8n 자동화 가이드 - 2편: Docker로 n8n 설치하기 (3) | 2025.06.03 |
n8n 자동화 가이드 - 1편: n8n이란? 워크플로우 자동화의 새로운 기준 (2) | 2025.06.02 |
n8n 설치 가이드 – 자가 호스팅(Docker) 편 (2) | 2025.05.31 |
n8n이란? – 오픈소스 자동화 툴 소개 (1) | 2025.05.30 |